티스토리 뷰

반응형

가장 많이 사용되는 7가지 수익성 비율:




수익률은 투자자가 특정 기간 동안 수익, 운영비, 대차대조표 자산, 지분 주주와 관련하여 기업의 수익 창출 능력을 평가하는 데 사용하는 재무 비율이다.

이 비율은 투자자들에게 회사가 주주들에게 이익과 가치를 창출하기 위해 자산을 얼마나 잘 사용하고 있는지를 알려준다.


일반적으로 수익 창출, 현금 흐름 등을 통해 사업이 잘 되고 있다는 뜻이기 때문에 높은 비율을 선호한다.



이 비율은 같은 업종의 유사 기업을 비교하는 데 도움이 된다.




1. 자기 자본 수익성 :
이 비율은 주주들의 자본에 대한 순이익의 비율이거나 주식 투자자들이 회사의 사업에 투입한 돈의 수익률로 표현될 수 있다.

ROE 비율은 높은 ROE가 기업의 주식을 매입하는 이유를 나타내는 것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찾는 비율이다. 

ROE가 높은 기업일수록 내부적으로 현금을 창출할 능력이 높아져 채무 재정에 대한 의존도가 낮아진다.

ROE의 공식은 Tax ÷ 순자산 Where, 순자산 = 주식자본, 유보 및 잉여금이다.

2. 주당 배당금:
이 수익률은 회사가 주주들에게 분배하는 배당금 액수를 보여준다. 

이 비율이 높다는 것은 그 회사가 잉여 현금을 보유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주당 배당을계산하는 공식은 주주분배액 ÷ 미지급주식수 없음이다.

3. 가격 수익비율:
투자자들은 이 수익률을 회사의 과대평가된 주가와 저평가된 주가를 확인하는 데 사용한다.

이 비율은 회사의 수익에 대한 기대감과 투자자에 대한 투자 회수 기간도 보여준다.

주가 수익비율산정식은 시장가격 ÷ 주당순이익

투자수익률이 좋은 재무건전성 기업을 매입하려는 투자자들을 위해 P/E는 적정가격을 지불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만큼 종목 선정을 위한 연구과정의 일환이다.



수익을 이용해 기업을 가치 있게 평가하려 할 때 이 비율을 쉽게 사용할 수 있다. 

높은 P/E 또는 낮은 P/E를 발견했을 때 그들은 그들이 거래하고 있는 주식이나 회사의 종류를 쉽게 평가할 수 있다.

주가수익률이 높은 기업은 향후 실적 호조를 보여 성장주로 꼽힌다.

4. 자본에 대한 수익성 :
이 수익률은 오너들이 사업에 투자하는 펀드에 대한 회사 내 수익률을 보여준다.

높은 자본 고용 수익률은 고용된 자본의 루피 당 더 많은 이익이 발생한다는 것을 나타내기 때문에 회사를 더 잘 나타낸다.

ROCE를 계산하는 공식은: 순영업이익 ÷ 자본고용 × 100

고용된 자본 = 주식 자본, 준비금 및 잉여금, 사채 및 장기 차입금 또는 고용된 자본 = 총자산 – 유동부채


다른 재무비율과 마찬가지로 ROCE 수익성 을 계산하는 것만으로는 충분하지 않다.

 

 

 자산 수익률, 투자자본수익률, 자본수익률과 같은 기타 수익률은 기업이 좋은 투자인지 아닌지를 판단하기 위해 ROCE와 함께 사용해야 한다.

5. 자산 수익률:
자산 수익률(ROA)은회사의 총자산 대비 순이익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익률이다.

ROA 비율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의 루피당 세후 이윤을 얼마만큼 창출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며, 또한 사업의 자산 강도를 측정한다.

기업이 자산 1루피당 수익이 낮을 때, 그 회사는 더 자산집약적인 것으로 간주된다. 

자산 집약도가높은 기업들은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 기계와 장비를 구매하는 데 큰 투자를 요구한다.

웹 세미나에서 기본 분석 상위 10개 비율 확인

6. 순이익률:

 


순이익률은 기업의 순익을 보고 이를 총수익으로 나눈 수익성 이다. 

 

이자, 세금 등 비용 지출 후 기업이 얼마나 수익성이 좋은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순이익률을 모든 것을 고려한 수익률로 봐야 한다. 

이 비율의 주요 단점은 일회성 비용과 이익처럼 '소음'이 많이 포함돼 있어 경쟁사와의 기업 실적 비교가 어렵다는 점이다.

7. 영업이익률:
영업이익률은 이자비용과 소득세가 인하되기 전에 수익을 매출의 비율로 보는 수익률이다.

영업이익률이 높은 기업은 고정비용과 의무이자에 대한 지급 준비가 잘 돼 있어 경기둔화에서 살아남을 가능성이 높다.

영업이익률 분석은 경영을 잘하면 영업비 관리로 기업의 수익성을 높일 수 있어 경영력 분석에 주로 사용된다.



위에서 논의한 바와 같이, 수익성은 회사의 최종 성과, 즉 회사가 얼마나 많은 이익을 냈는지를 보여준다. 오너 자금이 회사에서 얼마나 수익성 있게 활용됐는지도 보여준다.

 

이전 글 읽기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TAG more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반응형